Category151 Latex 수식 기호 - 실수 집합 R 표현 Latex 수식 기호 - 실수 집합 R 표현법 \mathcal{RQSZ} \mathbb{RQSZ} 2023. 5. 2. [논문 리뷰] Accurate Facial Image Parsing at Real-Time Speed https://paperswithcode.com/paper/accurate-facial-image-parsing-at-real-time Papers with Code - Accurate facial image parsing at real-time speed#6 best model for Face Parsing on CelebAMask-HQ (Mean F1 metric)paperswithcode.com Accurate Facial Image Parsing at Real-Time Speed 논문 리뷰 Abstractpromising accuracy와 eal-time inference speed로 동작 가능한 face parsing 네트워크 제안일반 이미지 파싱과 face 파싱의 차이점을 분석하고 전통적인 F.. 2023. 4. 3. 티스토리에서 수식 입력하기 티스토리에서 수식 입력하는 법 먼저 글쓰기 창에서 기본모드를 html 모드로 변경한다. 바꾸는 버튼은 오른쪽 상단에 있다. 그 다음 문서 상단에 아래의 코드를 입력한 후 다시 기본모드로 돌아오면 된다. 이제 잘 설정되었는지 직접 작성해서 확인해보자.Latex 문법에 맞춰서 수식을 작성해 보면 아래의 텍스트가 $ y = ae^x $ 이런 식으로 수식 형태에 맞게 잘 작성되는 것을 볼 수 있다.$ y = ae^x $ 2023. 4. 3. [Android/Kotlin] 안드로이드에서 코틀린으로 TFLite 모델 돌릴 때 생길 수 있는 RGB, BGR 오류 / Pytorch와 TFLite 출력이 다른 이유 안드로이드에서 코틀린으로 TFLite 모델 돌릴 때 생길 수 있는 RGB, BGR 오류 부제: Pytorch와 TFLite 출력이 다른 이유, RGB2BGR 현재 PyTorch로 학습된 모델을 TFLite로 변환하여 안드로이드에서 동작시키는 코드를 짜고 있다. Convert를 다 하고, Android Studio에서 Kotlin으로 TFlite 모델을 동작시킬 때 논리적 오류가 발생했다. 환경 별 모델 Output 비교 왼쪽 위는 레이블, 오른쪽 위는 Python으로 PyTorch를 동작시켰을 때 나오는 output, 왼쪽 아래는 Python에서 TFLite를 동작시켰을 때 나오는 output, 오른쪽 아래는 Kotlin에서 TFLite를 동작시켰을 때 나오는 output이다. Kotlin에서 TFLit.. 2023. 3. 23. Latent Space에 대한 이해 Understanding of Latent Space in Machine Learning What is Latent Space? 간단하게 말하자면 단순히 압축된 데이터의 표현을 말한다. MNIST와 같은 손글씨 숫자(0–9) 데이터셋을 상상해 보자. 같은 번호의 이미지들는 다른 번호의 이미지들에 비해 서로 가장 유사하다. 우리는 이러한 유사성을 인식하도록 모델을 훈련시킬 수 있다. 이 유사성을 훈련시키는 방법이 우리에게 "숨겨진"것 같다면, 그렇기 때문이다. Latent는 정의상 "숨겨진"을 의미한다. 데이터의 특징을 학습하고 패턴을 찾기 위한 목적으로 데이터 표현을 단순화하는 딥러닝의 핵심이기 때문에 잠재 공간(Latent Space)의 개념이 중요하다. ML에서 데이터를 압축하는 이유? 데이터 압축은.. 2023. 3. 22. [코틀린] Kotlin의 정수, 실수 자료형, 자료형 추론법 Kotlin의 정수, 실수 자료형 정수 자료형 정수 자료형은 양수, 음수, 0을 나타낸다. 코틀린의 정수 자료형은 부호가 있는 것과 부호가 없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다음은 부호가 있는 정수 자료형을 정리한 표이다. 값의 범위에 따라 알맞은 정수 자료형을 사용하면 된다. 부호가 있는 정수 자료형 정수 자료형 Long 8바이트(64비트) -2^63 ~ 2^63-1 Int 4바이트(32비트) -2^31 ~ 2^31-1 Short 2바이트(16비트) -2^15 ~ 2^15-1 (-32,768 ~ 32,767) Byte 1바이트(8비트) -2^7 ~ 2^7-1 (-128 ~ 127) 정수를 표현할 때 숫자를 그냥 사용하면 10진수를 나타내지만, 접미사나 접두사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이 2진수나 16진수로도 표현.. 2023. 3. 20. 이전 1 ··· 15 16 17 18 19 20 21 ··· 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