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thon] 정수로 이진수 or 연산 구현하기
이진수의 or 연산은 같은 자리(인덱스)에 있는 숫자 둘 중 하나라도 1이면 1, 둘 다 0이면 0을 출력한다.
아래 예시를 보자.
파이썬에서 정수를 이진수로 변경하는 빌트인 함수는 bin()이다.
이는 앞에 0b가 붙은 스트링 타입으로 출력된다.
9의 이진수 01001과 30의 이진수 11110을 or 연산하면 11111이 나와야 한다.
원리대로 한다면, 모든 인덱스를 돌아가며 한 자리 씩 숫자를 비교해야 하는데
파이썬에서는 이보다 훨씬 간단한 빌트인 연산자를 제공한다.
|
바로 | (or) 연산자이다.
이는 정수끼리 연산해도 이진수의 or 연산 결과를 정수로 출력한다.
예시를 보자.
9|30 을 출력하면 31이 나온다.
이는 01001 or 11110 의 결과인 11111을 10진수로 변환한 것이다.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deque의 개념과 사용법, 장점 (0) | 2025.02.06 |
---|---|
[Python] 유용한 빌트인 함수 모음 / replace, re.compile, lower (0) | 2025.02.05 |
[코테공부/Softeer/Python] [한양대 HCPC 2023] Yeah, but How? (0) | 2025.01.31 |
[코테공부/Softeer] 나무 공격 Python (0) | 2025.01.31 |
[Python] zip() 함수 사용법 / 가장 긴 길이에 맞춰 zip() 사용법 (0) | 2024.01.17 |